청년월세
2025 청년월세 특별지원 자영업자 프리랜서 사업 소득 산정 방법
by Captain Hanks
2025. 2. 27.
2025년 청년월세 특별지원 사업에 대해 궁금하신 점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청년 자영업자나 프리랜서 소득은 어떻게 산정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읽어보시고 속시원하게 궁금증을 해소하세요!
2025년 청년 월세 특별지원 사업 안내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부 지원 정책 (2025년 2월 27일 기준)
소득 기준
• 청년 독립가구: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2025년 1인 가구 기준 약 143만 원)
• 원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4인 가구 약 609만 원)
사업소득 산정
• 소득금액증명원이나 사업소득 원천징수영수증 제출
• 2025년 신청 시 2024년 소득 실적 기준
• 최근 개업 또는 소득 변동이 큰 경우: 최근 3개월 수입 내역 제출 가능
추가 확인 방법
• 건강보험료 납부액으로 소득 수준 추정
• 지역가입자의 경우 월 보험료로 소득 역산 가능
• 신청 전 거주지 주민센터나 복지로 사이트에서 필요 서류 확인 권장
불규칙적인 월소득
소득.재산 조사항목 및 확인방법 p.56은 아래 페이지에서 참고하세요!
p.56 소득.재산 조사항목 및 확인방법
혹시 아래 정보도 필요하신가요?
재산 기준
• 청년 독립가구: 1억 2,200만 원 이하
• 원가구: 4억 7,000만 원 이하
기본 원칙
• 원가구: 청년의 부모와 부모와 함께 사는 민법상 가족
• 이혼 시: 청년이 주민등록상 함께 사는 부모와 그 가구가 원가구로 간주
• 예: 이혼 후 엄마와 살았다면 엄마와 엄마의 재혼 배우자, 그 가구의 소득·재산이 포함
예외 사항
• 청년이 30세 이상이거나 결혼했거나 미혼부·모로 중위소득 50% 이상을 버는 경우
• 이 경우 원가구 소득·재산을 확인하지 않고, 청년 독립가구만 확인
재산 범위
• 주택, 토지, 차량, 예금 등을 합산
• 부모 재혼 가구의 재산도 포함
• 부채(주택 구입·임차보증금 용도 한정)는 공제 가능
지원 가능 조건
• 임차보증금 5,000만 원 + 월세 60만 원 이하
• 월세가 60만 원 초과 시: 보증금을 월세로 환산한 값(2.5% 적용)과 합쳐 90만 원 이하면 가능
허용 주택 유형
• 일반 주택(아파트, 다세대·다가구 주택, 오피스텔)
• 기숙사, 쉐어하우스, 고시원 등 주거 목적 시설
• 임대차계약서, 입실서, 기숙사비 납부 영수증에 계약 조건이 명시된 경우 인정
허용 시점
• 신청일 기준 전입신고 완료 필요
• 실제 거주 및 월세 납부 사실 확인 필요(최근 3개월 내 계좌 이체 내역 등)
• 지원 기간: 최대 12개월(생애 1회)
제외 대상
•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 직계가족(부모·형제) 소유 주택 임차인
청년월세 프리랜서 확인하기
2025년 청년 월세 특별지원 사업은 월 최대 20만 원을 12개월간 지원하는 혜택입니다.
자영업자·프리랜서는 소득 증빙, 부모 이혼·재혼 가구는 원가구 범위, 주거 시설은 계약 조건을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복지로(www.bokjiro.go.kr)나 거주지 주민센터에 문의하시면 친절히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거비 부담을 덜고,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청년월세지원 #주거복지 #청년정책 #월세지원금 #2025년지원사업
2025년 청년 월세 특별지원 사업은 월 최대 20만 원을 12개월간 주는 혜택이라, 조건에 맞으면 꼭 신청해 보세요.
👉 파일 다운로드 공지사항 보러가기